RHEL 9.5에서 SSH Root 접속 비활성화하는 방법
RHEL 9.5 (Red Hat Enterprise Linux 9.5)는 안전한 서버 운영을 위해 SSH 접속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root 계정의 SSH 접속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보안 상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HEL 9.5에서 root 계정의 SSH 접속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1. SSH에서 Root 접속 비활성화하기
root 계정으로 직접 SSH 접속을 막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수정하여 PermitRootLogin 설정을 no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SSH 접속 후, 필요한 경우 sudo나 su 명령어를 사용하여 관리자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SSH 설정 파일 수정하기
SSH 설정 파일 열기
먼저, sshd_config 파일을 수정하기 전에 현재 설정을 확인해봅니다. 이 파일은 SSH 서버의 주요 설정을 관리합니다
sudo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설정 찾기
파일 내에서 PermitRootLogin이라는 설정을 찾습니다. 만약 주석처리 되어 있거나 설정이 없다면, 다음과 같이 추가해줍니다.
아래 명령어 복사 하시면 /etc/ssh/sshd_config 파일에서 PermitRootLogin 를 찾아서 하단에 추가해줍니다.
PermitRootLogin no
설정 추가 및 저장
주석을 그대로 두고, 그 아래에 현재 날짜와 시간을 주석으로 추가한 후, PermitRootLogin no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udo sed -i "/^#*PermitRootLogin/ a \# $(date '+%Y-%m-%d %H:%M:%S') - Disabled root login\nPermitRootLogin no" /etc/ssh/sshd_config
결과로는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 2024-11-06 13:49:35 - Disabled root login
PermitRootLogin no
3. SSH 서비스 재시작
설정을 마친 후에는 SSH 서비스를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적용해야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SSH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sshd
결론
이번 글에서는 RHEL 9.5에서 SSH Root 접속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서버 보안을 강화하려면 root 계정으로의 직접적인 접속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ermitRootLogin 설정을 통해 root 접속을 막고, 대신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 후 sudo나 su 명령어를 사용하여 관리자 권한을 얻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와 같은 보안 설정은 서버를 안전하게 운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W > Operation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CS IP 변경하는 방법 (0) | 2024.07.31 |
---|---|
Windows 10 IP 바꾸기 (0) | 2021.05.23 |
Windows Server RDS 활성화 및 구성 (0) | 2021.04.15 |
즐겨찾기 백업 복원 Explorer 에서 다른 브라우저로 (0) | 2021.04.08 |
Windows 파일 삭제 로그 남기기 (0) | 2021.03.31 |